2024년 근로소득세율 (표)
소득세는 기본적으로 근로소득세율이건 종합소득세율이건 양도소득세율이건 소득세라는 관점에서 세율이 같습니다. 다만, 세부적으로 공제라든지 공제항목이 다를 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 근로소득세율 표와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소득세 계산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근로소득세율표
2024년 기준 근로소득세율 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과세표준 (원) | 세율 (%) |
1,400만 원 이하 | 6% |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 15% |
5,0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 | 24% |
8,800만 원 초과 ~ 1억 5천만 원 이하 | 35% |
1억 5천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 | 38% |
3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 40% |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 42% |
10억 원 초과 | 45% |
주의사항: 실제 세금 계산 시에는 소득 공제, 세액 공제 등 다양한 요소가 반영되므로, 위 표는 기본적인 세율 적용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근로소득세율표 적용 예시
실제 세금 계산을 통해 근로소득세율표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연간 소득이 7,000만 원인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 1,400만 원 이하 부분:
- 1,400만 원 × 6% = 84만 원
-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부분:
- (5,000만 원 - 1,400만 원) × 15% = 4,600만 원 × 15% = 690만 원
- 5,000만 원 초과 ~ 7,000만 원 이하 부분:
- (7,000만 원 - 5,000만 원) × 24% = 2,000만 원 × 24% = 480만 원
총 세금: 84만 원 + 690만 원 + 480만 원 = 1,254만 원
이 예시를 통해 소득 구간별로 적용되는 세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총 세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결론
2024년 근로소득세율은 소득 구간에 따라 다양한 세율이 적용됩니다. 자신의 연간 소득이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확인하고, 해당 구간에 맞는 세율을 적용하여 정확한 소득세를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소득 공제와 세액 공제를 적절히 활용하면 실제 납부해야 할 세금을 줄일 수 있으므로,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반응형
'직업,직장 > 세금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GS그룹 임원 인사 명단: 홍순기 부회장, 허서홍‧허철홍 사장급 이상 승진 (0) | 2024.11.28 |
---|---|
2025년 정기 삼성전자 사장단 인사 발표, 이영희, 한진만 김용관 사장 승진 명단 조만간 임원인사 (0) | 2024.11.27 |
2025 공무원연금 인상률 (군인연금, 사학연금 포함)과 2024년 물가상승률 전망 (0) | 2024.10.09 |
사단법인 이란? 설립 특징 (0) | 2024.08.15 |
국내 대기업 순위, 한국 재계 서열 순위 (0) | 2024.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