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직장/세금 경제

종부세 과세대상 기준, 종합부동산세 세율표, 종부세 납부기한 분할납부

by LABOR 수달김수달 2023. 11. 15.

목차

    종부세 과세대상 기준, 종부세 세율표, 종부세 납부기한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의 이해

    종합부동산세(이하 '종부세')는 주택 및 토지 소유자를 대상으로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이 세금은 주택가격이 일정 기준을 초과할 때 적용되며, 그 기준은 매년 변동될 수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주택의 경우 9억 원을 초과하는 주택에 대해 과세가 이루어지며, 1세대 1주택자의 경우 12억 원을 초과할 때 과세 대상이 됩니다. 종합합산 토지는 5억 원, 별도합산 토지는 80억 원이 과세 기준입니다.

    종부세 세율의 구조

    종부세 세율은 소유한 주택의 가격과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택 수가 적은 경우와 많은 경우에 대해 서로 다른 세율이 적용되며, 주택 가격이 높아질수록 세율도 상승하는 누진세율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3억 원 이하의 주택에 대해서는 0.5%의 세율이 적용되며, 이는 2주택 이하와 3주택 이상 모두 동일합니다. 하지만 주택 가격이 94억 원을 초과하면 2주택 이하의 경우 2.7%, 3주택 이상의 경우 5.0%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이러한 세율 구조는 고가 주택 소유자에 대한 과세를 강화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종합부동산세 세율표

    종합부동산세의 과세비율은 주택 수와 공시지가에 따라 다릅니다. 다음은 종부세의 세율을 요약한 표입니다:

    과세표준 세율(2주택 이하) 누진공제(2주택 이하) 세율(3주택 이상) 누진공제(3주택 이상)
    3억 원 이하 0.5% - 0.5% -
    6억 원 이하 0.7% 60만 원 0.7% 60만 원
    12억 원 이하 1.0% 240만 원 1.0% 240만 원
    25억 원 이하 1.3% 600만 원 2.0% 1,440만 원
    50억 원 이하 1.5% 1,100만 원 3.0% 3,940만 원
    94억 원 이하 2.0% 3,620만 원 4.0% 8,940만 원
    94억 원 초과 2.7% 10,180만 원 5.0% 18,340만 원

    주택 수에 따라 적용되는 세율과 누진공제가 달라지므로,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세금을 계산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종부세 계산 방법

    종부세 계산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보유 중인 주택의 공시지가에서 공제금액(9억)을 뺀 후, 이 금액에 공정시장가액비율(80%)을 곱합니다. 이 계산이 복잡하다고 느껴지는 경우, 홈택스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종부세 계산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계산기는 사용자의 부동산 정보를 바탕으로 예상 종부세를 계산해줍니다.

    종부세 계산 방법

    종부세 납부 기한

    종부세의 납부 기한은 매년 12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입니다. 과세 기준일은 매년 6월 1일로 설정됩니다. 납부기한 중 주말이나 공휴일이 포함되어 있다면, 그 다음 주 첫 번째 평일이 납부 마감일이 됩니다. 세액이 25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일부 금액을 6개월 이내에 분할 납부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됩니다. 이는 250만 원에서 500만 원 이하의 세액에 해당할 때 적용됩니다.

    결론 및 주의사항

    종부세는 부동산 소유자에게 중요한 세금 중 하나이며, 그 계산과 납부에 있어 정확한 정보와 이해가 필요합니다. 과세 기준, 세율, 계산 방법, 납부 기한 등을 숙지하시어 세금 납부에 차질이 없도록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키워드: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 기준, 세율표, 납부기한, 주택가격, 과세 기준, 공제금액, 1세대 1주택자, 과세표준, 누진세율, 공시지가, 공정시장가액비율, 홈택스, 계산기, 분할 납부

    반응형